Cheat Sheet

#CentOS #Samba #설치 #설정 본문

서버

#CentOS #Samba #설치 #설정

원파 2019. 5. 8. 18:48

부제 : CentOS에 Samba를 설치해서 파일공유하기


* CentOS는 서버에 설치된 OS이다. 리눅스계 운영체제 가운데 하나이다.

* Samba는 Window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C에서 Linux 또는 UNIX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출처 : 구글

 


vi 기초 사용법

vi는 편집모드와 입력모드가 있다. 

 

모드 전환 

  • 입력모드 전환 - 커서 있는 자리부터 입력 i key, 커서 다음 자리부터 입력 a key
  • 편집모드 전환 - esc

 

커서 이동

방향키

 

 

저장과 종료

  • 파일저장 - 편집모드에서  :w  엔터
  • vi 종료 - 편집모드에서   :q  엔터
  • 저장 후 종료 - 편집모드에서  :wq  엔터
  • 저장하지 않고 종료(강제 종료) -  :q!  엔터
  • 이 정도만 알아도 충분히 쓸 수 있다고 한다.

출처 : https://blog.xianchoi.kr/151

 

 

 


CentOS세팅은 모르겠고 나는 mRemoteNG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하였다.

IP / 사용자 이름 / 암호를 작성한후 접속.

 

 

1단계 : 삼바 설치

# yum install samba samba-common cups-libs samba-client

 

 

2단계 : 삼바 설정

삼바를 설치하면 삼바설정파일이 생성됩니다

# vi /etc/samba/smb.conf

 

 

 

삼바설정파일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global] 항목은 삼바서버 전체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share] 항목은 개별적인 공유영역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global] 항목에서 주의깊게 고민해야 하는 부분은 두 가지입니다.

1. hosts allow = 192.168.1.

삼바서버에 접근가능한 IP 대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는 192.168.1.0 ~ 192.168.1.255에서 오는 IP만 공유영역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만약 모든 IP에 대해 접근을 가능하게 하려면 위의 항목을 주석처리해야만 합니다.

 

2. security = [share|user]

security 정책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share 아니면 user를 사용합니다.

share는 인증받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공유영역을 열어줍니다.

user는 오직 인증받은 사용자만 삼바서버에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hosts allow에 공유하고자 하는 IP대역을 지정해준다.

만약 B class까지만 써준다고 한다면 

ex) 10.10. 이렇게 써주도록 한다. 10.10이 아닌

 

 

3단계 : 공유 디렉토리 생성

*리눅스는 디렉토리를 만들고 사용자를 추가하는 형식 (윈도우와 다르다)

# mkdir -p /share/20190501

mkdir -p옵션을 사용할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 중간의 디렉토리를 자동으로 생성해 준다.

 

# chown -R root:users /share/20190501

형식 : chown [옵션] [소유자:소유그룹] [파일]

 

chown : 파일의 소유자나 소유그룹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

-R : 경로와 그 하위 파일들을 모두 변경

해석하자면 /share/20190501경로와 그 하위 파일의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각각 root와 users로 변경

 

# chmod -R 775 /share/20190501

형식 : chmod [옵션] [퍼미션] [파일]

 

chmod : 파일의 권한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

-R : 경로와 그 하위 파일들을 모두 변경한다.

해석하자면 /share/20190501경로와 그 하위 파일의 권한은 다음으로 한다

rwx rwx r_x(775) 소유자/ 그룹/ 그 외 사용자 순.

 

4단계 : 공유 디렉토리 지정

# vi /etc/samba/smb.conf

 

[share] 항목에 추가

[nas]
comment = Testproject
path = /share/20190501
valid users=@users
force group=users
writable = yes
browseable = yes

[nas]

로 써서 설정을 하면

\\00.00.00.00\nas로 쓰는 것이고

[abc]

로 써서 설정을 하면

\\00.00.00.00\abc로 접속을 하는 것이다.

 

5단계 : 재부팅시 삼바가 기동 되도록 설정

# chkconfig --list 235 smb on

 

6단계 : 삼바 재시작

# /etc/init.d/smb restart
or
# service smb restart

 

 

7단계 : 삼바 사용자 생성

 

7-1단계 : 리눅스에 유저 생성

# useradd project ­-G users 

형식 : useradd [옵션] [계정명]

 

useradd :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는 명령어

-G : 사용자가 속할 그룹지정

해석하자면 users 그룹에 속할 project 사용자 생성

 

# passwd project (project 계정의 비밀번호 설정 ­> 로그인 비밀번호 이며 삼바 비번과는 다름)

형식 : passwd [계정명]

 

passwd :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 및 변경하는 명령어. 관리자에 의한 사용자생성 후 반드시 패스워드를 성정해야만 함. root유저는 일반계정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나온다.

# passwd project                                                  
Changing password for user project.                         
New password:                                                    
Retype new password: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7-2단계 : 삼바서버로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추가

*삼바유저는 리눅스 시스템에 등록된 유저만 추가할 수 있다.

 

# smbpasswd ­-a project 

형식 : smbpasswd [옵션][계정명]

 

smbpasswd : 삼바서버로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추가

-a : 유저 추가

해석하자면 리눅스의 등록된 유저 중 project유저를 삼바서버를 사용할 수 있게끔 추가

 

*** 참고
사용자 추가 / 삭제 / 중지
# smbpasswd ­a 계정 : 계정 추가
# smbpasswd ­x 계정 : 계정 삭제
# smbpasswd ­d 계정 : 계정 중지
> 위 작업후 삼바 재시작 필요함.

 


출처: https://storycompiler.tistory.com/31 

 

 


 

윈도우에서 접속이 되는지 확인한다.

 

내 PC > 마우스오른쪽 버튼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폴더에 서버의 ip주소를 입력하고 마침

 

 \\00.00.00.00\nas

삼바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입력후 접속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ssion #timeout #톰캣  (0) 2019.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