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배열
- Interceptor
- 접속권한
- Linux
- 자바
- springboot
- 권한부여
- java
- Iterator
- session
- Timeout
- ip체크
- lombok
- 최대최소
- swagger
- vi
- 정해진기간동안
- CentOS
- Log4j
- String
- login
- indexof
- Spring
- 새글
- new
- new아이콘
- 톰캣
- tomcat
- SAMBA
- Today
- Total
Cheat Sheet
# 프록시 #proxy 본문
프록시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중간 서버를 말해요. 여러분이 인터넷에서 어떤 웹사이트를 방문하고 싶을 때, 직접 그 사이트에 접속하는 대신 프록시 서버를 통해 우회하여 접속하는 방식이에요. 이를 통해 여러분의 IP 주소나 위치 정보와 같은 개인 정보를 숨기거나, 접근이 제한된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보자면, 여러분이 온라인에서 선물을 숨겨두고 싶어 한다고 가정해볼게요. 직접 선물을 숨기러 가는 대신, 친구에게 선물을 숨겨달라고 부탁해서, 선물을 찾는 사람이 선물의 위치를 모르게 하는 것과 비슷해요. 여기서 친구가 프록시 서버의 역할을 하며, 선물을 숨기는 과정이 바로 여러분의 웹 요청을 프록시 서버가 대신 전송해주는 과정이에요.
프록시는 주로 개인 정보 보호, 지역 제한 콘텐츠 접근, 회사나 학교에서의 인터넷 사용 제한 우회 등에 사용돼요.
"'프록시를 태워서 보낸다'"는 비공식적이고 은유적인 표현으로, 인터넷에서 특정 요청을 프록시 서버를 통해 우회하여 보낸다는 의미에요. 이 표현은 주로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여 원래의 IP 주소나 위치 정보를 숨기고, 다른 지역이나 서버로부터 요청이 오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과정을 가리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웹사이트에 접근할 때 지역 제한을 우회하거나, 사용자의 실제 위치를 숨기기 위해 프록시 서버를 사용할 수 있어요.
이 과정에서 "태운다"는 표현은 보통 데이터나 요청을 프록시 서버를 거쳐서 전송하는 과정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이를 통해 원본 데이터의 출처를 감추거나 변경된 출처로 보이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인터넷 상의 익명성을 높이거나, 접근 제한이 있는 콘텐츠에 접근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